경제신문스크랩 - 현대IT&E
[AI 실생활 체험기] 더현대 서울 무인매장 '언커먼스토어', 도난 위험 없나?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7988
#기사본문
더현대 서울에 위치한 무인매장 '언커먼스토어' 입장 전 앱으로 사용할 신용카드 등록...물건 들고 나오면 자동 결제 40여 대 AI카메라와 150여 개 무게감지 센서 등 첨단 IT 기술 총집합 앱 설치와 제휴가 안 된 카드사 등 불편함 존재 더현대 서울이 층고 높아 무인매장 운영 수월 언커먼스토어. 더현대 서울 6층에 위치한 무인매장 이름이다. 현대백화점그룹 IT 전문 자회사인 현대IT&E와 아마존웹서비스(AWS)가 협업해 만든 매장이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이 사용됐다고 알려졌다. 무인매장이라면 자연스레 드는 호기심이 있다. "물건을 훔칠 수 있을까?"이다. 길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아이스크림 무인매장과는 또 다르다. 무려 백화점이다. 비싼 물건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가봤다. 물론 물건을 훔치는 것이 목적은 아니다. 과연 안전할까 알아보기 위해서다. 앱 설치해야 출입 가능, 결제는 앱을 통해 자동으로! 결과적으로 훔치지 못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훔치기 어렵다. 영화 '나홀로 집에' 나오는 도둑들처럼 무식한(?) 깡이 있어야 시도라도 할 수 있다. 물론 그러면 세상을 자유롭게 돌아다니진 못할 거다. 언커먼스토어에 있는 물건을 가방에 넣어가도 주머니에 숨겨 나와도 결제가 된다. 결제시스템 때문이다. 언커먼스토어에 입장하려면 반드시 해야 하는 미션이 있다. '현대식품관'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결제하는 카드도 등록해야 한다. 이 앱을 켜고 나오는 QR코드를 인식해야 들어가는 문이 열린다. 이 절차 없이는 매장에 들어갈 수 없다. 언커먼스토어 매장 앞에는 사람들이 다 이 앱을 깔고 있었다. 이 앱은 출입절차 역할도 하지만, 자동 결제를 하는 중요 역할을 한다. 언커먼스토어에 들어가서 물건을 들고 출구를 나오면 앱에 등록한 카드가 자동 결제된다. 물건을 가방에 넣거나 주머니에 넣고 와도 결제가 된다. 매장을 나와서 5~10분 정도 있으면 스마트폰 앱을 통해 결제가 됐다는 알람이 뜬다. 걸어서 나오면 자동으로 결제되는 미국 아마존고의 '저스트 워크아웃(Just Walk Out technology)' 기술과 유사하다. 불편한 점도 있다. 앱에 등록할 수 있는 카드가 8개 카드사밖에 없다. ▲신한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KB국민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만 된다. 카카오뱅크 카드만 사용하는 입장에선 출입이 불가했다. 그나마 다행인건 일행 중 한 명만 앱을 설치하고 카드를 등록하면 입장이 가능했다. 정말 어쩔 수 없이 후배기자 카드를 등록해서 입장해야 했다. 미안했다. 언커먼스토어의 자동결제 시스템에는 현대IT&E와 KG이니시스의 기술이 쓰였다. 자동으로 나오면서 결제가 되는 프리패스 기술은 현대IT&E가 특허를 낸 기술이다. KG이니시스는 고객이 구매한 물건을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했다. KG이니시스 관계자는 "현대백화점 언커먼스토어에 제공한 결제서비스는 간편하고 편리하면서도 최신 트렌드에 맞는 스마트한 서비스"라고 소개했다. 언커먼스토어는 고객이 어떤 물건을 샀는지 어떻게 알까? 언커먼스토어에서 고객이 어떤 물건을 선택해 구매하는지 어떻게 알까? 이 역할은 인공지능(AI) 카메라와 무게감지 센서가 한다. 언커먼스토어에 들어가 천장을 보면 40여 대의 AI카메라가 있다. 촘촘하게 감시 중이다. 또 150여 개 무게감지 센서가 고객 동선과 상품 이동을 추적한다. 무게 변화를 읽어 고객이 어떤 상품을 선택했는지도 알아낸다. 상품을 집었다가 다시 내려놓으면 구매 목록에서 제외된다. 카메라 비전 기술과 로드셀 인식 값을 종합해 고객 구매 행동을 파악한다. 정확성도 높다. 단 규칙이 있다. 구입 의사가 없어진 상품은 꼭 그 자리에 있었던 자리에 놓아야 한다. 그리고 상품을 집은 사람이 놓아야 한다. 매장 안에서는 같은 일행이어도 물건을 서로 교환해서는 안 된다. 매장에 들어갈 수 있는 인원도 제한돼 있다. 최대 10명만 들어갈 수 있다. 지금은 코로나19 때문에 두 팀씩만 입장이 허용됐다. 언커먼스토어를 안내하는 직원은 "만약 이 규칙을 거기게 되면 구매하지 않아도 자동결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언커먼스토어에는 규칙이 있다. 1. 매장에는 최대 10명만 입장할 수 있다. (지금은 코로나19로 두 팀만 입장 허용) 2. 한번 집어 든 물건을 일행이어도 바꿔 들 수 없다. 처음 집어 든 사람이 계속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구입의사가 없어진 상품은 꼭 제자리에 놓아야 한다. 이 때 상품을 집어 든 사람이 놓아야 한다. 4. 규칙을 어기게 되면 구매하지 않아도 결제가 될 수 있다. 그런데 환불은? 규칙을 어겨 결제가 잘못됐거나 구매한 물건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언커먼스토어에서도 환불을 할 수 있다. 실제로 매장에서 구매한 상품 중 하나를 환불하고 싶다고 안내 직원에게 얘기했다. 직원은 곧바로 환불을 해줬다. 그런데 이곳은 원래 무인매장이다. 안내 직원이 있다는 건 결국 유인매장이라는 거다. 실제로 언커먼스토어에 방문한 고객 중 한 명은 "무인매장이라더니 결국 직원이 계시네요"라고 말하기도 했다. 안내 직원은 "무인매장이 익숙하지 않은 고객이 많아 안내차 있을 뿐"이라며 "환불은 전화를 하고 물건을 더현대로 가져오면 일주일 내로 환불이 된다"고 설명했다. 언커먼스토어에서 파는 물건은 무엇? 언커먼스토어는 전문 매장 느낌보다는 새로운 유통 IT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공간처럼 느껴졌다. 안에 있는 물건도 간단했다. 과자와 음료 등 간단한 먹을거리와 치약, 비누, 에코백, 스마트폰 케이스, 립밤 등 일상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있었다. 주로 해외제품으로 가격은 비싼 편이었다. 사람이 없는데 날 지켜본다? 어떤 기술로!? 새로운 유통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에 언커먼스토어에는 다양한 기술이 장착돼있다. 현대IT&E는 무인매장 구현을 위해 고객별 구매 패턴과 동선 등을 자동으로 기록·분석하는 AI 컴퓨터 비전을 개발했다. 데이터 학습에 필요한 기계학습(머신러닝) 기술도 갖췄다. 언커먼스토어에는 AWS 기술도 사용됐다. 현대백화점은 무인매장 구축을 위해 2018년 AWS와 '미래형 유통매장 구현을 위한 전략적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무인매장을 연구하면서 개발한 핵심기술을 AWS 클라우드 환경으로 옮기면서 구현 기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비용 감소 등을 해결했다. 지금도 매장 내 고객의 쇼핑 행위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하는 카메라와 센서 데이터를 아마존 키네시스 비디오 스트림·데이터 스트림, 람다 서비스를 통해 처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장 내 기기관리와 데이터 라벨링에도 아마존웹서비스(AWS)기술이 쓰인다. 기기관리는 AWS 사물인터넷(IoT) 코어를 통해 이뤄진다. 머신러닝 학습을 위한 데이터 라벨링 처리는 아마존이 만든 아마존 세이지메이커 그라운드 트루스 소프트웨어로 시행한다. 라벨링된 데이터는 AWS스텝펑션을 통해 학습을 자동화한다. 무인매장, 왜 더현대 서울에 만들었나? 그러면 현대백화점은 왜 무인매장을 더현대 서울에 구축했을까? 더현대 서울이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최신 백화점인 이유가 가장 클 것이다. 전문가들은 여기에 또 다른 이유가 있다고 전한다. 천고 높이다. 더 현대는 층과 층 사이가 높다. 나무가 있을 정도다. 층고 높이는 무인매장에서 운용하는 센서 이용에 유리하다. 센서가 인식하는 각도가 넓어지면서 인식할 수 있는 범위가 넓고 정확도도 높아져서다. 업계 관계자는 "더현대 서울은 층고가 높아 무게감지 센서 이용에 유리하다"면서 "천고 높이가 낮게 되면 그만큼 센서가 더 많이 필요하고 지금보다 더 정확한 기술이 필요해 매장 구축에 비용이 더 많이 들 것"이라고 말했다. 매장 크기도 기술적인 요소와 상관있다. 언커먼스토어 매장 크기는 33㎡(약 10평) 규모다. 처음갔을 때 상당히 작다고 느꼈을 정도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매장 크기가 작은 것은 비용 등을 고려했을 때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매장이 크면 그만큼 AI카메라와 센서가 많이 필요해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 그는 "조그마한 무인매장을 차리기 위해선 3억원 이상의 비용이 든다"면서 "관련 솔루션의 가격 단가가 높아 앞으로 무인매장은 기술력을 높이고 가격은 낮추는 데 많은 연구개발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
#근거(객관적 수치)
언커먼스토어. 더현대 서울 6층에 위치한 무인매장 이름이다. 현대백화점그룹 IT 전문 자회사인 현대IT&E와 아마존웹서비스(AWS)가 협업해 만든 매장이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이 사용됐다고 알려졌다.
#추가 조사내용
1. KG이니시스
KG이니시스의 주 사업영역은 전자지불결제 대행서비스(PG)입니다. PG(Payment Gateway)란 신용카드사, 은행, 통신사 등 결제를 취급하는 회사와 온라인 쇼핑몰 결제를 대행해주는 작업을 말합니다.
소수의 대형 온라인 판매자들은 자체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카드사 등과 직접 가맹을 맺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온라인 판매자의 경우는 자체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카드사와 직접 계약을 맺고 업무를 처리하기도 어렵습니다. PG사는 카드, 은행, 통신사 등 결제 취급회사와 중소형 온라인 판매자 사이에서 결제시스템을 제공하고 정산 업무 등을 해주고 일정 수수료를 받게 됩니다. 방문한 적도 없는 ‘이니시스’가 카드 내역서에 찍힌 것은 이 때문입니다.
2. 아마존 키네시스 비디오 스트림·데이터 스트림, 람다 서비스
1. 키네시스
AWS Kinesis 는 데이터 수집구간과 데이터 처리구간 중간에 위치합니다. 이렇게 중간에 위치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든 이유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이것을 다양한 포맷으로 만들어 줍니다.
Kinesis 를 이해하는데 헷깔리는게 있는데, Kinesis 가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 를 해준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라는 말은 스트리밍으로 데이터를 분석해준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다양한 형태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가공해서 다양한 분석 소프트웨어가 사용가능하도록 다양한 출력물을 만들어내주거나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하도록 해줍니다.
『 Amazon 에서는 Kinesis 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
Amazon Kinesis는 완전관리형 스트리밍 데이터 서비스입니다. 수십만 개의 소스에서 클릭 스트림, 애플리케이션 로그, 소셜 미디어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Amazon Kinesis 스트림에 지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몇 초 안에 Amazon Kinesis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스트림의 해당 데이터를 읽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2. 람다 서비스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실행
모든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백엔드 서비스에 대한 코드를 별도의 관리 없이 실행 가능
코드를 업로드하면 Lambda에서 높은 가용성으로 코드를 실행 및 확장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처리함
다른 AWS 서비스에서 코드를 자동으로 트리거하도록 설정하거나 웹 또는 모바일 앱에서 직접 코드를 호출할 수 있음
『 장점 』
인프라에 대한 걱정 없이 코드 실행 가능 -> NoOps 실현
트리거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확장/축소 가능.
코드가 병렬로 실행되고 각 트리거는 개별적으로 처리되어 정확히 워크로드 규모에 맞게 조정됨.
100ms 단위로 코드가 실행되는 시간 및 코드가 트리거되는 회수를 측정하여 요금을 부과하고, 코드가 실행되지 않을 때는 요금이 부과되지 않음.
『 람다 사용 사례 』
1) 실시간 파일 처리
Amazon S3를 사용하여 업로드하는 즉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AWS Lambda를 트리거할 수 있음. Lambda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썸네일하고, 동영상을 트랜스코딩하고, 파일을 인덱싱하고, 로그를 처리하고, 콘텐츠를 검증하고, 데이터를 수집 및 필터링할 수 있음
2) 실시간 스트림 처리
AWS Lambda 및 Amazon Kinesis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활동 추적, 트랜잭션 주문 처리, 클릭 스트림 분석, 데이터 정리, 지표 생성, 로그 필터링, 인덱싱, 소셜 미디어 분석, IoT 디바이스 데이터 텔레메트리 및 측정을 위한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
3) 추출, 변환, 로드
AWS Lambda를 사용하여 DynamoDB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 변경에 대한 데이터 검증, 필터링, 정렬 또는 기타 변환 작업을 수행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 스토어로 로드할 수 있음.
4) IoT 백엔드
AWS Lambda 및 Amazon Kinesis를 사용하여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 데이터 텔레메트리 및 분석을 위한 백엔드를 구축할 수 있음.
5) 모바일 백엔드
AWS Lambda 및 Amazon API Gateway를 사용하여 API 요청을 인증 및 처리하도록 백엔드를 구축할 수 있음.
6) 웹 애플리케이션
AWS Lambda를 다른 AWS 서비스와 결합하면, 확장성, 백업 또는 여러 데이터 센터 중복에 필요한 별도의 관리 작업 없이 개발자가 자동으로 확장 및 축소되고 여러 데이터 센터에 걸쳐 가용성이 높은 구성에서 실행되는 강력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음.
3. 천고 높이
=천장 높이
#적용할 점(현직자에게 물어볼 점)
1. 안드로이드 개발자는 현대IT&E에서 어떤 일을 하는가?
2. 앱과 웹을 같이 다루는 일을 하는가? 아니면 네이티브 앱을 다루는 일을 하는가?
3. 현대식품관 앱은 현대IT&E에서 관리하는 것인가?
#참고자료
[주목!e기업]“아마 어제도 썼을 겁니다”…전자결제 강자 ‘KG이니시스’